Algorithm

Algorithm/알고리즘 개념

[알고리즘] 02. DFS와 BFS

DFS와 BFS를 알기전에 트리와 그래프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 한다. https://memodayoungee.tistory.com/85 [자료구조] 02. Tree 트리 란? 💡트리: 단반향 그래프의 한 구조로, 하나의 뿌리로부터 가지가 사방으로 뻗는 형태가 나무와 닮았다고 해서 트리라 부르는 자료구조이다. 데이터가 바로 아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데 memodayoungee.tistory.com https://memodayoungee.tistory.com/84 [자료구조] 01. 그래프 DFS, BFS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다 어쩌다보니 그래프를 작성하게 되었다.. 안좋을 점은 없으니까.. 블로그에 남겨두고 간다... 그래프 란? 💡그래프: 여러 개의 점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 memodayoun..

Algorithm/자료구조 개념

[자료구조] 02. Tree

트리 란? 💡트리: 단반향 그래프의 한 구조로, 하나의 뿌리로부터 가지가 사방으로 뻗는 형태가 나무와 닮았다고 해서 트리라 부르는 자료구조이다. 데이터가 바로 아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무방향으로 연결된 계층적 자료구조. 비선형구조이다. 트리 구조는 루트(root)라는 하나의 꼭짓점 데이터를 시작으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간선(edge)으로 연결한다. 각 데이터를 노드(node)라 부르며, 두 개의 노드가 상하 계층으로 연결되면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게 된다. 위 그림에서 1이 2와 3의 부모 노드이며, 2와 3은 1의 자식노드이다. 자식이 없는 노드는 나무의 잎과 같다고 하여 리프 노드(Leaf Node)라 부른다. Tree는 깊이와 높이,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깊이(depth): 루트로부터 ..

Algorithm/자료구조 개념

[자료구조] 01. 그래프

DFS, BFS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다 어쩌다보니 그래프를 작성하게 되었다.. 안좋을 점은 없으니까.. 블로그에 남겨두고 간다... 그래프 란? 💡그래프: 여러 개의 점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표현한 자료구조 그래프의 구조 두 점 사이에 이어지는 그림의 갈색 선은 두 점이 직접적인 관계라는 것을 표현해준다. 그렇다면, 몇 개의 점과 선에 걸쳐 이어진 두 점은 간접적인 관계에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하나의 점을 그래프에서는 정점(vertex)이라 표현하고, 그림의 갈색 선을 간선(edge)이라고 부른다. 두 정점이 간선으로 이어져 있다면 이 두 정점은 인접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래프의 종류 그래프의 종류에는 그림처럼 3가지의 종류가 있다. 간선에 대한 값이 정해지지 않고 양방향인 "비가중치..

Algorithm/알고리즘 개념

[알고리즘] 01. 비트마스크(Bit mask)

💡비트마스크: 알고리즘보다는 기법이나 테크닉에 가깝다. 자료구조를 사용해야하는 상황에서 이진수를 이용하여 빠르게 연산하는 기법이라 말할 수 있다. 비트 마스크를 알기 전에 비트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 한다. 비트(Bit) 💡비트(Binary Digit, Bit): 데이터들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 이진수로 표현한다.(0과 1) 비트 연산자 구분 연산자 의미 설명 예시(a=1001, b= 1100) 비트연산자 & 비트 단위 AND 양쪽 비트가 모두 1이면 결과도 1이고 나머지는 0을 반환한다. a&b = 1000 | 비트 단위 OR 양쪽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1을 반환, 나머지는 0을 반환한다. a|b = 1101 ^ XOR(배타적 OR) 양쪽 비트가 서로 다르면 1, 같은면 0을 반환한다. a^b = ..

Algorithm/PTUStudy

6-7주차 연결 리스트(홀짝 연결리스트)

18. 홀짝 연결리스트 https://leetcode.com/problems/odd-even-linked-list/ Odd Even Linked List - LeetCode Odd Even Linked List - Given the head of a singly linked list, group all the nodes with odd indices together followed by the nodes with even indices, and return the reordered list. The first node is considered odd, and the second node is even, and so on. N leetcode.com 📌문제 연결 리스트를 홀수 노드 다음에 짝수 노드가 오도..

Algorithm/PTUStudy

6-7주차 연결 리스트(페어의 노드 스왑)

왜 6-7주차냐면 6주차에 푼 문제인데 7주차에 복습을 하기로 해성ㅋ 이 문제 때문에 아이패드를 꺼냈다. 난 집념의 K국가 시민. 깨달음을 얻었다. 17. 페어의 노드 스왑 https://leetcode.com/problems/swap-nodes-in-pairs/https://leetcode.com/problems/add-two-numbers/ Add Two Numbers - LeetCode Add Two Numbers - You are given two non-empty linked lists representing two non-negative integers. The digits are stored in reverse order, and each of their nodes contains a sin..

Algorithm/PTUStudy

7주차. 연결리스트 복습(두 정렬 리스트의 병합)

https://memodayoungee.tistory.com/39 5주차. 연결 리스트(두 정렬 리스트의 병합) 14. 두 정렬 리스트의 병합 https://leetcode.com/problems/merge-two-sorted-lists/ Merge Two Sorted Lists - LeetCode Merge Two Sorted Lists - You are given the heads of two sorted linked lists list1 and list2. Merge the two lists in a one sorted list memodayoungee.tistory.com 복습했던 문제. 때는 바야흐로 12일. 팀원 모두가 "연결 리스트" 라는 난관에 봉착했다. 백준 문제는 돌아가며 풀이했지만, ..

Algorithm/PTUStudy

6주차. 연결리스트(두 수의 덧셈)

16. 두 수의 덧셈 https://leetcode.com/problems/add-two-numbers/https://leetcode.com/problems/add-two-numbers/ Add Two Numbers - LeetCode Add Two Numbers - You are given two non-empty linked lists representing two non-negative integers. The digits are stored in reverse order, and each of their nodes contains a single digit. Add the two numbers and return the sum as a linked list. You may as leetcode.c..

Algorithm/PTUStudy

6주차. 에디터

1406. 에디터 https://www.acmicpc.net/problem/1406 1406번: 에디터 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000을 넘지 않는다.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 www.acmicpc.net 📌문제 - 예제1 📝입력 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000을 넘지 않는다.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입력할 명령어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명령어는 위의 네 가지 중 하나의..

Algorithm/PTUStudy

6주차. 스택수열

1874. 스택수열 https://www.acmicpc.net/problem/1874 1874번: 스택 수열 1부터 n까지에 수에 대해 차례로 [push, push, push, push, pop, pop, push, push, pop, push, push, pop, pop, pop, pop, pop] 연산을 수행하면 수열 [4, 3, 6, 8, 7, 5, 2, 1]을 얻을 수 있다. www.acmicpc.net 📌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구우중
'Algorithm'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